내게 영화는 일종의 휴식이다. 편하게 볼 수 있는 영화를 좋아한다. 영화의 장르는 굳이 따지지 않는다. 단, 좀비 영화는 영 질색이다. 도대체 그 역겨운 화면을 왜 만드는지 모르겠다. 그걸 왜 좋아라 하는 건지도 모르겠고.

지난 주말, 박찬욱 감독의 영화 <박쥐>를 봤다.
광고에 등장하는, '영혼을 뒤흔드는 치명적 사랑' 이야기를 보고싶었다.

 

영화 박쥐 광고 배너영화 <박쥐>의 예매 이벤트 광고 배너

 

영화를 보고 난 결론은, 영화 <박쥐>에 '영혼을 뒤흔드는 치명적 사랑' 이야기 따위는 없었다. 저 카피는 순전한 '뻥'이었다.

영화를 본 지 겨우 이틀이 지났지만, 영화 <박쥐>에 대해 남아 있는 기억은 거의 없다. '따분했다'는 한마디 말고는 사실 쓸 꺼리조차가 없는 상태다. 그럼에도 이 글을 쓰는 건 방금 네이버에서 본 몇 몇 영화평 - 철학이 어쩌고, 걸작 중의 걸작이 어쩌고.. 하는 영화 평들이 내게는 도무지 모래알 씹듯 읽혀서다.

나는 박찬욱 감독이 만든 영화를 별로 즐겨하지 않는다. 그의 초기작인 <복수는 나의 것>의 경우, 영화광인 어느 친구의 열렬한 찬사 탓에 몇 번이나 접할 기회가 있었지만 지금까지도 끝내 풀타임으로 보질 못 했다. 집중이 안 된다.

이유가 뭘까? 지나치게 작위적이어서다. 이게 좀 웃기는 말이긴 하다. 영화가 그럼 작위적이지 작위적이 아닌 영화도 있나 하면 할 말이 없다. 여기서 작위적이라는 말은 너무 냄새를 풍긴다는 의미다.

박찬욱의 영화는 지나치게 관중을 의식한다. 더 정확히는 관중의 반응을 의식한다. 나아가 이런저런 영화제의 평가까지를 염두에 둔다. 영화가 관중과 평단에 기생적일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박찬욱은 굳이 이같은 기생질을 숨기려 하지 않는다. 이것은 박찬욱이 가진 내공의 힘, 곧 뚝심이다. 관중이 그의 기생질에 기꺼이 말려드는 건 이 때문이다.

길게 얘기하면 지루할 테고,
영화 <박쥐>를 예로 들어 심플 버전으로 썰을 풀자면 그러니까 이런 얘기다.

박찬욱 감독 신작 <박쥐> 발표회박찬욱 감독 신작 <박쥐> 발표회

 

<박쥐>는 작위적이다.

신부를 등장시켜 '영혼'의 문제에 접근하고 정사신을 동원하여 '치명적인 사랑' 등을 이야기한다는 얘기 등은 몽땅 훼이크다. 박찬욱은 다만 기이한 이야기 하나를 시장에 내놓고 싶었을 따름이다. 그걸 위해 박찬욱은 화면을 이리 비틀고 저리 뒤튼다. 스토리가 심히 분절되고 파편화되어 나타나는 건 이 때문이다. 영화가 심오해서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라는 얘기다.

어쩌면 박찬욱은 정말로 '영혼을 뒤흔드는 치명적 사랑' 이야기를 하고싶었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만일 그런 거라고 한다면, 다시 말해 영혼이 어떻고 치명적인 사랑이 어떻고 하는 말이 훼이크가 아니고, 정말로 그걸 의도한 것이라면 그 결과는 더 절망적이다. 도대체 그런 이야기에는 근처에도 못간 함량미달의 작품인 때문이다.

<박쥐>는 지루하다.

이건 작위가 지나친 데서 나타나는 당연한 현상이다. 박찬욱의 작위성은 노골적이다. 물에 빠뜨려 죽인 친구가 반복해서 나타난다거나 그걸 심리적인 것일 뿐이라고 굳이 말로 전하는 장면, 그리고 문득 핏빛으로 변한 바다 위에 나타나는 고래 등은 이같은 작위성을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장면들이다.

이같은 화면은 영화 전반에 걸쳐 수도 없이 나타난다. 그리고 이야기 사이사이에서 거의 매번 똑같은 패턴으로 반복된다. 그러나 이같은 작위적 화면 연출은 한 두번으로 그친다면 모를까 휴지기마다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그 효과는 180도 달라진다. 신문에 연재되는 소설이나 만화가 매 회 마지막 장면에서 매번 임팩트를 주는 것과 같은 이치다. 이처럼 스테레오 타입으로 충격을 주는 방식은 하나씩 단편으로 볼 때는 확실히 흥미를 끌 수 있지만, 전체를 한꺼번에 볼 때는, 오히려 지루함을 넘어서 식상함을 주게 될 뿐이다. 

<박쥐>는 한국을 비튼다.

한때 '가장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이다'는 말이 유행한 적이 있다.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한국인이기에 할 수 있는 부문에 집중해야 한다는 의미에서다. 특히 문화 영역에서 이 말이 널리 쓰였던 걸로 기억한다. <서편제>의 임권택 감독도 그런 말을 한 걸로 기억하고, 판소리 명창 한 분은 같은 내용의 멘트를 광고에까지 나와서 전한 걸로 안다.

박찬욱의 영화에도 한국적 코드가 자주 읽힌다(사례는 생략한다). 영화 <박쥐>에도 이 코드는 등장한다. 한복집이다. 그런데 이 한복집이 살짝 기괴하다. 박찬욱에게 이 한복집은 그의 영화를 세계 시장에 팔아먹기 위해 만든 그만의 한복집이다. 진중권의 '짐바브웨'와 같은 수준으로 뒤틀린,

<박쥐>, 영혼도 사랑도 없는 삼류 좀비 영화일 뿐.

예매까지 하면서 <박쥐>를 보기로 한 건 나였다. 그러므로 선택에 대한 일차적인 책임은 내게 있다. 그러나 "4월 30일, 영혼을 뒤흔드는 치명적 사랑이 시작된다!"는 저 카피가 아니었어도 내가 과연 저 영화를 선택했을까? 아닐 것이다.

이 글은 그러니까 그 책임을 함께 나눠 갖자는 의미에서 쓰는 글이다. 딱 거기까지다.

2009년 5월 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