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신문 코리아포커스가 6월 1일자를 끝으로 휴간에 들어갔다. 창간 10개월여만이다.

안타까운 일이다. 비록 '정책 대안 뉴스 사이트'로 다시 문을 열겠다는 시한부 휴간이지만, 안타깝기는 마찬가지다. 진보 개혁 매체로서 낮은 사람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겠다며 출범하던 당시의 당당함에 비하면 그 휴간이 너무 빨리 찾아왔다는 생각이다. 창간 초기에 몇 차례 드나든 곳이고, 나름대로 탄탄한 재정 자립도를 지녔던 곳이기에 그 안타까움은 더 하다.

휴간안내문에서 밝히고 있는 그대로 '세상을 바라보는 올바른 기준과 사회적 희망을 제시할 수 있는 더 새롭고 성숙한 매체로' 곧 다시 문을 열기를 기대해본다.


코리아포커스 휴간안내문


<덧붙이는 글>

세계에서 인터넷신문이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나라가 한국이라고들 말한다. 그러나 한국 인터넷신문이 과연 인터넷신문 강국의 면모를 갖추고 있는가 하는 질문에 이르면 그 답은 긍정적이지 않다. 인터넷신문 시장 내부를 들여다보면 이만큼 후진적인 문화를 가진 곳도 찾기 힘들다.

주류언론의 행태를 비판하면서 이른바 '대안안론'이라는 이름으로 운영되는 인터넷신문이 쏟아내는 기사들은 극복의 대상인 주류언론의 기사에 훨씬 더 편향적이고 더 선정적이다, 선동성 또한 더 하다. 마땅히 부끄러워할 법한 일이지만, 이들로부터 이에 대한 부끄러움을 찾아보기 힘들다. 오히려 당당해하는 모습까지 보인다.  

운영과 관련한 부분에서는 그 후진성이 더 하다. 인터넷신문의 재정 상황은 대부분이 열악하다. 충분한 자금을 가지고 출범한 곳은 찾기 힘들다. 게다가 추가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창구는 코딱지만한 광고시장이 거의 유일하다(이마저 여의치 않은 곳도 부지기수다). '자발적 유료화'라는 '앵벌이식' 모금 방식이 보편화된 것도 이같은 사정과 무관하지 않다(이같은 운영비 충당방식이 왜 문제인가 대한 이야기는 생략한다). 

결코 바람직하다고 볼 수 없는 이같은 상황이 인터넷신문이 가장 활성화되어 있다는 한국 인터넷신문의 현주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