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로그, 2008년 1월 7일 메타블로그 서비스 오픈
- 새해 블로거 자유지대 - 메타블로그 전성시대 열린다

2008년 새해에 또 하나의 메타블로그 사이트가 오픈한다. 세계 최초로 기자정보 오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뉴스로그는 2008년 1월 7일(월요일) 메타블로그 '뉴스로그-시즌3'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오픈을 전후해서는 '버그를 찾아라' '이 블로거에 대해 알려주세요' 등의 다양한 이벤트도 함께 열린다.

메타블로그는 RSS 를 통해 독립적인 개별 블로그 및 포스트를 연결-중계하는 일종의 허브(Hub) 사이트다. 올블로그, 이올린, 블로그코리아 등의 메타블로그 전용 사이트와 언론사에서 운영하는 블로그플러스, 이버즈 등이 있다(메타블로그 사이트 모음은 첨부자료 참조).

2007년 한 해 정보기술(IT) 분야에서 가장 크게 주목받은 것은 블로그였다. 우선 양적으로 엄청난 성장세를 보여주었으며, 질적으로도 전문 기자들 못지않은 질높은 포스트를 선보이면서 의제 설정 및 이슈 메이커로 분명하게 자리잡았다.

블로그의 이같은 성장 이면에는 메타블로그가 있었다. 특히 이른바 파워블로거를 중심으로 포털 종속적인 서비스형 블로그를 벗어나 설치형 블로그 사용자가 증가하는 과정에서 이들의 포스트를 실시간으로 전달하고 독립적인 블로그를 연결하는 메타블로그의 역할은 절대적이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메타블로그의 한계 또한 일정부분 드러났다. 메타블로그의 서비스 방식이 비슷하여 각 서비스간 차이점이 눈에 띠지 않는다는 지적과 메타블로그를 통해 유통되는 컨텐츠 대부분이 IT 부문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다는 평가가 그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뉴스로그-시즌3는 메타블로그에 대한 이같은 평가에 하나의 의미있는 대안을 제시한다. 서비스를 기획한 정용수 팀장은 "뉴스로그의 메타블로그 서비스는 몇 가지 점에서 기존의 메타블로그와 그 성격을 달리 한다"고 말한다.

첫째는 차별화된 서비스다. 기존의 메타블로그가 카테고리 중심의 서비스를 통해 단순한 링커(연결자) 역할에 그쳤다면, 뉴스로그-시즌3는 서비스의 모든 중심 축을 블로거에 두고 철저하게 개별 블로거의 브랜드를 제고하는 방향에서 접근한다.

두번째는 평판 시스템의 도입이다. 뉴스로그-시즌3는 기자가 생산한 기사와 블로거가 작성한 포스트를 동일 선상에 놓고 비교 평가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기자평판 서비스 운영을 통해 얻은 노하우가 메타블로그 서비스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세번째는 시딩(Seeding) 방식을 통한 메타블로그 서비스 영역의 확대다. 뉴스로그-시즌3는 단순히 RSS 만을 중계하지 않는다. 디그닷컴(digg.com)과 같은 시딩 시스템을 도입하여 RSS가 지원되지 않는 형식의 포스트도 얼마든지 링크가 가능하다.

네번째는 커뮤니티 기능의 강화다. 뉴스로그-시즌3에 연결된 모든 글에는 기본적으로 댓글과 트랙백 기능이 제공되며, 여기에 별도의 커뮤니티 기능이 추가된다. 이를 통해 개별 블로거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제기된 이슈나 문제의식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뉴스로그-시즌3는 이밖에도 '지금 관심이 필요한 포스트' '어제 관심을 받지 못한 글' 등 이른바 마이너 블로거를 위한 여러 장치를 마련해두고 있다. 뉴스로그-시즌3가 과연 ‘메타블로그의 전성시대’를 새롭게 열어갈 수 있을지 주목되는 까닭이다.

/ 2007. 12. 27


<못다한 이야기> 지금까지 블로거는 전문 기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문화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형식상으로 본다면 이같은 평가는 타당하다. 전문적인 훈련 과정을 거친 기자의 기사는 확실히 블로거가 생산한 포스트에 비해 비교우위를 갖는다.
그러나 블로그 또한 기사가 갖지 않는 장점이 있다. 바로 롱테일 이론으로 대표되는 집단지성의 힘이다. 블로그의 글은 트랙백과 댓글을 통한 치열한 검증 과정을 통해 계속해서 더 나은 방향으로 다듬어진다. 활자화하는 순간 그 생명을 다 하는 기사와 달리 블로그의 글은 지속적으로 생성 발전해가는 특성을 갖는다. 기자의 글이 대개 완결된 구조를 띠는 것에 비해 블로그의 글이 느슨하게 열려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뉴스로그-시즌3의 목표는 블로거를 기자의 영역으로 애써 끌어가려는 대신, 기자를 블로거의 영역으로 불러들여 공정한 평가와 건전한 경쟁의 장을 마련해보자는 데 있다. 이를 통해 블로그는 무엇이며, 미디어란 또 무엇인가에 대해 함께 고민하면서 새로운 가능성으로서의 그 무엇을 찾아볼 수 있기를 희망한다.